본문 바로가기
궁금해서 찾아본 역사 속 인물

슈바이처, 이 초라한 세상 속에서 살고 있는 단 한 명의 위대한 인간.

by 내일은더행복하길 2023. 10. 5.
728x90

알베르트 슈바이처 교회

 

알베르트 슈바이처 생애

 

프랑스와 독일 접경 지역인 카이젤에서 1875년 1월 14일에 태어났습니다. 그 덕에 그는 독일어와 프랑스어에 능통했습니다. 24살이던 1899년 임마누엘 칸트 연구로 철학 박사, 이듬해 복음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의사로서 업적에 가려져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20세기 최고의 개신교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슈바이처는 기독교의 본질적 사상인 예수의 대속을 인정하지 않았고, 당시에는 자유주의 신학이 강세였지 때문에 이런 주장도 할 수 있었습니다. 1903년부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신학부 강사로 근무하며 성 니콜라 루터교회 부목사로 목회도 병행하였습니다.

1913년 부인과 함께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랑바레네로 건너가 현지 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 봉사에 나서게 되었습니다. 헌신적인 의료 활동으로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회복해서 당시 원주민들은 슈바이처를 '오강가(마법사)'로 칭송했다고 전해집니다. 

부인이 사망한 이후부터 슈바이처는 두번째 고향인 아프리카에서 머물며 평생 동안 유럽 땅을 밟지 않았고, 1965년에 그는 90세의 일기로 죽음을 맞이했고, 평생을 바친 병원 옆, 간호사로서 평생 그와 함께 일했던 부인과 같은곳에 묻혔습니다. 생을 마감하지 직전, 딸이게 바흐의 악곡을 연주해달라고 부탁했으며, 그 음악을 들으면서 영면에 들었습니다. 그의 딸 레나 슈바이처 밀러(1918~2008)도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아프리카에서 의료 봉사를 하다가 아버지처럼 90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슈바이처 노벨평화상 수상

 

 

그는 1952년 적도 아프리카 랑바레네에 알베르트 슈바이처 병원을 세우고 생명에 대한 경외로움으로 인류의 형제애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 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수상자가 결정될 떄마다 늘 논란이 잦았던 노벨평화상이었지만, 그가 수상자로 결정될 때에는 그 누구도 반대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때 평화상 자체는 받아들였으나,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시상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사실이 아니었고, 슈바이처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시상식에 직접 참석을 했으며, 수상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오슬로 라디오 방송국에서 핵폭탄 실험에 반대하는 평화주의 강연을 하였습니다.


노벨상으로 획득한 상금은 세계 언론이 예상했던 대로 아프리카에서 나환자촌을 만드는 데 썼습니다.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들었을 당시에도 개인적 명예보다는 상금으로 새 병원을 지을 수 있게되어 더 기뻐했을 정도입니다.그 외에도 병원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대기 위해 모금 운동과 연주회, 출판 등 백방으로 노력하였다고 합니다.


 

슈바이처의 저서

 

 

슈바이처는 의사로서 유명하지만 본업은 신학 박사로서 강단에 선 학자였고, 동시에 음악가이자 파이프오르간 전문가였습니다. 각각의 분야에 책을 냈고, 오르간 연주 앨범도 시중에 판매됐습니다.

아프리카 봉사에 관한 대표저서로는 '나의 생애와 사상"(판본에 따라 노벨상 수상때 연설문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물과 원시림 사이에서', '랑바레네 통신', 등이 있습니다. 읽어보면 꽤 재미있고 솔직한 부분도 많습니다. 성장기와 병원 운영과 수술 이야기 외에도 다양한 주제로 쓴 단편이 때로는 몇 쪽, 때로는 한 챕터를 할애하여 들어 있습니다.

책에 따라 신학적인 주제, 음악적인 주제를 다루기도 하고, 현지에 와서 다양한 백인과 흑인을 만나며 보고 듣고 생각한 것들을 적어 놓았습니다. 적도 아프리카에서 지성인으로서 살아남기, 이상적인 선교 사업, 재정 문제, 아프리카 의료의 현실, 열강의 식민지 정부 운영 문제, 식민지의 수출과 수입, 목재 산업, 강제 노동, 흑인 사회 비평, 아프리카의 자연, 병원 반경 약 200Km 지역에 사는 부족들과 그들의 관계 등 약 100년 전 서아프리카를 엿볼 수 있기에 좋습니다. 그 외 사후 서한집이 국문으로 출판되었고, 철학서로는 '문화와 윤리'도 번역 된 적이 있습니다.

 



728x90